운동시설물
조경 운동시설물 공사는 공원, 공동주택, 산책로, 체육공원 등에 설치되는 야외 운동기구와 관련 부대시설을 시공하는 작업입니다.
건강 증진, 주민 복지 향상, 생활 체육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안전성, 내구성, 사용 편의성이 핵심 기준입니다.
운동시설물 구성(14종)
기구들은 낮은 충격과 높은 안정성을 바탕으로 설계되어 노약자부터 성인까지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라톤|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다리뻗치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등허리지압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양팔줄당기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어깨근육풀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역기내리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옆파도타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하늘걷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온몸근육풀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온몸역기올리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온몸허리돌리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윗몸일으키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자유평행봉|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자전거|복합형가능
W1,300 X D780 X H2,000
STL, FORMAX, ABS, ETC
운동시설물 패널 커스텀 디자인
문화,전통,테마 등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관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며 타 브랜드와 차별성을 가지고
지역 환경과의 경관 조화 및 단지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운동시설물 종류
| 구 분 | 설 명 |
|---|---|
| 노약자용 운동기구 | 허리돌리기, 손잡이 자전거 등 저강도 운동기구 |
| 근력 강화 기구 | 철봉, 윗몸일으키기, 다리 들어올리기 등 체중 저항 운동 |
| 스트레칭용 설비 | 벽걸이형, 회전식 스트레칭바 |
| 심폐지구력 기기 | 페달 돌리기, 스텝 운동 등 유산소 운동용 |
운동시설물 특성
• 실외 적합성 : 햇빛, 비, 눈, 온도 변화에 강한 내후성 자재 사용
• 안전성 : 낙상, 충격,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 설계(곡면 처리, 완충)
• 유지보수 용이성 : 부품 교체 가능성과 표준화된 구조
• 조작 간편성 : 어린이, 노약자도 쉽게 이용 가능한 구조
• 내구성 : 장기간 사용에도 성능 유지 가능한 설계
운동시설물 취급 자재
| 자재명 | 용 도 | 특 징 |
|---|---|---|
| 강관, 앵글, H형강 | 주 구조 프레임 | 고강도, 내진 • 내풍 설계 가능 |
| 분체도장 스틸 | 기구 외장 및 표면 마감 | 녹방지, 색상 다양, 내구성 높음 |
| HDPE, HPL, 판넬 | 외부 패널, 손잡이 커버 | 내습성, 미끄럼 방지, 안전성 확보 |
| 스테인리스 볼트 • 나사 | 체결 부위 | 부식 방지, 내구성 강화 |
디자인 및 브랜드 정체성 반영
• 지역 상징물 또는 마을 테마 연계
지역 문화 / 역사적 상징 요소 반영 가능(예 : 전통 문양, 마스코트 형태 등) ↦ 도시 경관과 조화되고 방문객 관심도 증가
• 시설 일체감 부여
쉼터, 파고라, 안내판 등과 색상 • 소재 • 형태 통일 ↦ 통합 조경 디자인
재질 및 마감 선택 다양화
• 고급 마감 적용 가능
HPL, 방부목, WPC(합성목),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마감 선택 가능 ↦ 내구성과 고급스러운 외관 동시에 확보
• 안전 • 위생적 표면처리 적용
항균 도장, 미끄럼 방지 패턴 등 사용자 안전성 강화
